보이지 않는 손, 블랙록 –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실세인가?

보이지 않는 손, 블랙록 –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실세인가
A close-up of a building with flags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조선일보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진짜 실세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우리는 종종 국가나 중앙은행, 혹은 다국적 기업들을 떠올립니다. 그러나 이 질문의 답은 생각보다 가까이 있고,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한 곳에 있습니다. 바로 블랙록 (BlackRock)이라는 이름 아래, 조용히 그리고 막강하게 금융 시스템 전반을 관장하는 ‘보이지 않는 손’ 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랙록이란 어떤 존재인지, 어떤 방식으로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지,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목차

블랙록 (BlackRock)이란 누구인가? 

A person in glasses and a person in glasses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대신 TV 
설립연도1988년
창립자래리 핑크 (Larry Fink)외 7명
본사미국 뉴욕
CEO (2025년 기준)래리 핑크 (Larry Fink)
운용 자산 규모약 10조 달러 (Trillion USD) 이상

1988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블랙록은 단순한 자산 운용사를 넘어선 거대 금융 제국입니다. 블랙록은 현재 전 세계 약 10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며, 이는 대부분의 국가 GDP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입니다. 블랙록의 대표인 래리 핑크 (Larry Fink)는 월가의 실세 중 하나로 꼽히며, 막대한 자금을 운용하고 글로벌 금융시장, 기업 경영, 주요 국가의 정책 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인물입니다. 블랙록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ETF 사업세계 최대 ETF 브랜드인 iShares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투자
기관 자산 운용연기금, 보험사, 중앙은행 등 거대기관 고객의 자금을 위탁 운용
리스크 분석 시스템 ‘알라딘 (Aladdin)’약 21조 달러 규모의 자산이 이 시스템에서 분석됨

블랙록은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가?

A screenshot of a chart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Visual Capitalist 

블랙록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최대 혹은 주요 주주입니다. 미국의 S&P 500 지수 내 상장사 중 상당수가 블랙록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곧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실질적 영향력을 의미합니다. 뿐만 아니라, 2020년 코로나 19 팬더믹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는 자산 매입 프로그램 운영을 블랙록에 위탁했습니다. 이는 민간 기업인 블랙록이 중앙은행 역할을 대신 수행한 역사적 사례로 기록됩니다.

블랙록과 한국의 연결고리

A close-up of a sign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조선닷컴 

블랙록은 단순한 외국계 투자자가 아닙니다. 이미 한국 자본시장에 깊숙이 들어와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구조적 참여자입니다. 최근 분석에 따르면, 한국  100대 상장기업 중 82곳에서 블랙록이 4대 주주 이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연금에 이어 2대 또는 3대 주주로 등재된 경우만 해도 57개사에 달합니다. 이는 단순한 금융 투자를 넘어, 블랙록이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 주식시장 투자 확대 

A person in a suit and headphones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서울경제 

블랙록은 현재 4개의 아시아 펀드를 통해 한국 주식에 약 2조원 규모를 투자 중이며, ETF를 통해 삼성전자 등 주요 종목에 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6개 국내 자산운용사와 제휴하여 한국 시장 확대를 타진 중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A wind turbines in the ocean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크레도 홀딩스 

2021년, 블랙록은 한국의 재생에너지 개발사 KREDO Holdings (구 IGIS PE)를 100% 인수하여 해상풍력 및 태양광 사업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하였으며, 한국 내 재생에너지 확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전라남도 신안 일대 해상풍력 5개 사업은 송전망 불안정과 재정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한국 정부에 의해 제동이 걸렸습니다.

현지 조직 강화

2024년 11월, 한국지사 대표를 새로 임명하고, 국내 자산운용사와 파트너십을 맺는 등  현지화 전략을 확대 중입니다.

블랙록에 대판 비판과 논란

시장 독점과 경쟁 제한

블랙록은 투자 대상 기업들의 지분을 동시에, 다수, 일정 비율로 보유하는 방식을 택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 산업에서는 델타, 유나이티드, 아메리칸 항공 모두에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에너지 분야에서는 석탄·가스·재생에너지 기업을 모두 소유합니다. 이런 현상을 ‘공동 소유(Common Ownership)’라 부르는데, 문제는 이 구조가 시장 경쟁을 무력화 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와 법무부는 2024년, 블랙록과 뱅가드 등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석탄 산업 내 가격 경쟁을 약하시켜 결과적으로 소비자 피해를 유발했다는 이유로 반독점 조사의 대상에 올렸습니다. 이는 단순한 재무적 투자를 넘어, 시장 구조를 바꾸는 수준의 소유 형태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 graph of a market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Cambridge University Press 

위선적 ESG 정책, 진짜 ‘착한 자본’일까?

블랙록은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의 선도주자임을 자처하며, 래리 핑크 CEO는  매년 투자자 서한에서 “자본은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나 실제 투자 내역을 보면 그 발언과의 괴리가 적지 않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아마존 열대우림 개발 기업에 대한 투자입니다. 2023년 한 환경단체 조사에 따르면, 블랙록은 삼림 파괴 및 원주민 강제 이주를 초래한 농업·자원 개발 기업에 약 5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의 인권단체는 블랙록을 OECD에 공식 제소하기도 했습니다.

A person holding a yellow sign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출처:  NEW YORK POST 

기업 경영 간섭과 ‘조용한 권력’

블랙록은 세계 주요 기업의 2대, 3대 주주로서 의결권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문제는, 그들이 특정 기업에 장기적으로 깊이 개입하지 않으면서도, 기업 경영 방향에 실질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절묘한 위치에 서 있다는 점입니다. 결국,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최대 자본이 제시하는 방향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셈입니다. 블랙록은 자신들은 ‘시장 참여자’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규칙을 따르는 존재가 아니라, 규칙 그 자체를 만드는 자에 더 가깝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우리의 금융, 그리고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이 ‘보이지 않는 손’ 블랙록의 정체에 대해, 더 많은 이해와 동시에 감시가 필요할 것입니다.

목차